[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 JPA + 마이바티스 환경 셋팅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 3.10

 

JPA + 마이바티스 환경 셋팅

 

전자정부 표준 프레임워크 3.10 최신 버전을 이용하여 JPA + 마이바티스 사용 환경 설정 가이드 입니다.

 

-목   차-

 

1장 개발환경 셋팅 2

1.1  표준프레임워크 포털 접속 2

2장 JPA 실습 87

2.1  JPA 개발을 위한 환경 셋팅 87

2.2  멀티 데이터 베이스 설정 98

2.3  JPA DOMAIN 구조 106

2.4  Entity 생성 117

2.5  Spring JPA 관련 주요 Annotation 및 설정 121

1.개요 121

2.정리 121

2.6  연관관계 조인 128

2.7  전자정부 클래스 자동 생성 135

2.8  프로시저 호출 154

 

1장 개발환경 셋팅

1.1  표준프레임워크 포털 접속

URL : https://www.egovframe.go.kr/home/sub.do?menuNo=41 사이트에 접속하여 다운로드 => 개발환경 => 3.x다운로드 최신버전을 다운 받는다.

◆ 3.10.0 개발자용 개발환경 64bit(Implementation Tool) Version 3.10.0

최신버전을 다운 받아서 압축을 푼다.

압축을 풀면 eclipse,workspace 폴더가 있다

mkdir dist 폴더를 만든후에 eclipse폴더를 dist폴더로 이동한다.

dist 폴더에 포터블 jdk1.8버전을 복사한다. 그냥 자바1.8을 설치해서 경로 설정해도 된다.

테스트 was서버는 개발시에는 tomcat을 사용하고 운영 배포시에는 wildfly를 사용할거라서 2가지 was를 다운 받아서 복사한다.

  1. 톰캣서버를 다운 받는다.

URL : https://tomcat.apache.org/download-90.cgi 

접속하여 최신버전 Tomcat 9 버전을 다운받는다.

64-bit Windows.zip 압축버전을 받아서 dist폴더에 압축을 해제한다.

톰캣서버가 잘 기동되는데 톰캣설치 경로에 가서 실행 시켜 본다.

c:\eGovFrameDev-3.10.0-64bit\dist\apache-tomcat-9.0.48\bin>

c드라이브에 압축을 풀었으면 위에와 같은 경로가 될 것이다.

cmd  창을 띄워서 : startup 명령어를 실행시켜 톰캣서버를 기동시킨다.

기동시에 위에창과 같이 한글이 깨진경우 conf폴더에 logging.properties 파일을 열어서 인코딩을 변경한다.

UTF-8 => EUC-KR로 전부 바꿔 준다. 

conf-> logging.properties

 

1catalina.org.apache.juli.AsyncFileHandler.level = FINE

1catalina.org.apache.juli.AsyncFileHandler.directory = ${catalina.base}/logs

1catalina.org.apache.juli.AsyncFileHandler.prefix = catalina.

1catalina.org.apache.juli.AsyncFileHandler.maxDays = 90

1catalina.org.apache.juli.AsyncFileHandler.encoding = UTF-8

2localhost.org.apache.juli.AsyncFileHandler.level = FINE

2localhost.org.apache.juli.AsyncFileHandler.directory = ${catalina.base}/logs

2localhost.org.apache.juli.AsyncFileHandler.prefix = localhost.

2localhost.org.apache.juli.AsyncFileHandler.maxDays = 90

2localhost.org.apache.juli.AsyncFileHandler.encoding = UTF-8

3manager.org.apache.juli.AsyncFileHandler.level = FINE

3manager.org.apache.juli.AsyncFileHandler.directory = ${catalina.base}/logs

3manager.org.apache.juli.AsyncFileHandler.prefix = manager.

3manager.org.apache.juli.AsyncFileHandler.maxDays = 90

3manager.org.apache.juli.AsyncFileHandler.encoding = UTF-8

 

4host-manager.org.apache.juli.AsyncFileHandler.level = FINE

4host-manager.org.apache.juli.AsyncFileHandler.directory = ${catalina.base}/logs

4host-manager.org.apache.juli.AsyncFileHandler.prefix = host-manager.

4host-manager.org.apache.juli.AsyncFileHandler.maxDays = 90

4host-manager.org.apache.juli.AsyncFileHandler.encoding = UTF-8

 

java.util.logging.ConsoleHandler.level = FINE

java.util.logging.ConsoleHandler.formatter = org.apache.juli.OneLineFormatter

java.util.logging.ConsoleHandler.encoding = UTF-8

 

UTF-8 => EUC-KR로 변경 후 재기동

변경후 한글 정상 출력이 되지 않고 한글이 깨질 경우는  cmd의 코드 페이지가 949 – ANSI/OEM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를 Tomcat이 실행될 때 UTF-8로 실행되게 해주면 한글이 깨지지 않는다.

cmd 창을 띄워서 레지스트리에 utf 사용 등록

 

REG ADD HKCU\Console\Tomcat /v CodePage /t REG_DWORD /d 65001

톰캣을 재기동 하면 한글이 정상 출력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