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base Connections 설정 JPA 엔티티 자동생성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db커넥션을 먼저 설정을 해 줘야 한다. c:\eGovFrameDev-3.10.0-64bit\dist\ 에 가서 lib 폴더를 만든다. lib폴더에 db접속 할수 있는 jdbc 드라이버 라이브러리를 카피한다. 데이터베이스는 티베로와 postgresql을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2개의 라이브러리 파일을 카피했다. jpa 사용하기 위해서 hibernate 라이브러리도 카피했다. Data Source 탭을 선택한 후에 Database Connections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창이 뜨면 New...을 클릭한다. PostgreSQL 을 선택후 Next 버튼을 클릭한다. PostgreSQL JDBC Driver을 선택하..
WildFly 24.0.0.Final 다운로드 URL : https://www.wildfly.org/downloads/ 20.0.1.Final Jakartra EE Full & Web zip 버전을 다운 받는다 압축을 풀고 C:\eGovFrameDev-3.10.0-64bit\dist\wildfly-20.0.1.Final\bin> 설치된 폴더로 이동후: standalone.bat 명령을 실행하여 정상적으로 기동되는지 확인한다. 정상적으로 설치가 되었으면 폴더 구조가 위와 같이 된다. eclipse 폴더에 들어가서 eclipse.ini 파일을 수정하여 환경설정을 셋팅한다. 자바 경로를 추가 한다. 실행 hip 영역 최소 메모리를 2048m 으로 변경한다. lombok을 사용하기 위해 lombok.jar을 다..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 3.10 JPA + 마이바티스 환경 셋팅 전자정부 표준 프레임워크 3.10 최신 버전을 이용하여 JPA + 마이바티스 사용 환경 설정 가이드 입니다. -목 차- 1장 개발환경 셋팅 2 1.1 표준프레임워크 포털 접속 2 2장 JPA 실습 87 2.1 JPA 개발을 위한 환경 셋팅 87 2.2 멀티 데이터 베이스 설정 98 2.3 JPA DOMAIN 구조 106 2.4 Entity 생성 117 2.5 Spring JPA 관련 주요 Annotation 및 설정 121 1.개요 121 2.정리 121 2.6 연관관계 조인 128 2.7 전자정부 클래스 자동 생성 135 2.8 프로시저 호출 154 1장 개발환경 셋팅 1.1 표준프레임워크 포털 접속 URL : https://www.ego..
16. 스프링부트 설치 1.1 스프링부트 설치 스프링부트도 많이 사용 됩니다. 스프링 환경셋팅의 복잡성을 간소화 해서 쉽게 프로젝트를 만들 수 있습니다. 스프링 부트를 다운 받아 설치 합니다. 간단하게 스프링부트 설치 방법만 적어 보겠습니다. 사이트 : https://spring.io/tools 다운 받은 파일이 jar 파일로 압축이 되어 있습니다.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jar 파일을 압축 해제 합니다. 압축해제를 하면 contents.zip 로 압축된 파일이 있습니다. contents.zip를 압축해제 해야 스프링부트를 실행할수 있습니다. 압축해제를 하면 sts-4.19.0.RELEASE 폴더가 나옵니다. 이 폴더를 원하는 디렉토리에 복사 하여 사용합니다. C드라이브에 복사해서 사용하겠습니다. c드라이브..
1.3 도커 공유 볼륨 복제 도커와 공유 시킨 볼륨을 압축해서 백업 받습니다. 다른 pc에 환경 세팅시 공유된 볼륨 폴더를 복사 해 놓으신후 도커 허브에서 이미지를 설치해야 동일한 작업환경으로 셋팅 할수 있습니다. tar cvzf apache.tar.gz /app/apache/ tar cvzf gitlab.tar.gz /app/gitlab/ tar cvzf jenkins_home.tar.gz /app/jenkins_home/ tar cvzf mariadb.tar.gz /app/mariadb/ tar cvzf pgdata.tar.gz /app/pgdata/ tar cvzf svn.tar.gz /app/svn/ tar cvzf tomcat.tar.gz /app/tomcat/ tar cvzf wildfly.t..
15. 도커 허브 이미지 업로드 1.1 작업한 이미지 도커 허브에 올리기 도커 허브에 이미지를 올리기 위해서는 이미지 이름 규칙이 있다. 이미지 이름 맨 앞에는 도커 허브에 가입한 아이디가 필수로 들어가야 전송할수 있다. 예를 들어서 도커 허브 아이디가 cbwstar 이면 이미지 이름은 cbwstar/이미지이름 이런 규칙으로 만들어야 전송이 된다. 우리가 위에서 작업한 컨테이너를 저 규칙을 적용하여 이미지를 생성후 생성된 이미지를 도커허브에 전송해야 한다. 도커허브에 전송시 무료 회원은 PUBLIC 으로만 전송이 가능하기 때문에 모든 이미지는 공개로 전송이 된다. 유료 회원은 PRIVATE 을 제공한다. 무료 회원은 전송 속도가 극악 수준으로 느리다. 전송은 되기는 된다. 도커 허브에 전송된 이미지 도커..